서아시아 8편. 오스만제국의 멸망과 터키 공화국의 성립과정
1. 술탄 압둘 하미드 2세의 보수정치 1876년 외세에 의한 오스만 제국의 영토 잠식이 극성을 부를 때 등장한 술탄 압둘 하미드 2세는 전대 몇몇 술탄들의 서구 의존식 개혁정치를 과감히 버리고, 무슬림의 자주성과 이슬람 이념의 통일을 바탕으로 둔 보수정치로 회귀하였다. 집권 초기, 노토 전쟁의 패배로 국론의 분열이 심화되고, 전쟁책임문제가 대두되자, 개혁론자인 재상 미트 하트를 처형하고, 의회를 해산하여, 술탄 중심의 전제정치를 강화하였다. 이를 위해 압둘 하미드는 외교노선에서 친독 정책을 표방하였고, 제국 안팎의 모든 이슬람 세력을 자신을 중심으로 결집시켜 기독교 서구 열강의 압력에 맞서고자 하는 범이슬람 운동을 확산시켰다. 2. 청년 투르크당의 근대화 투쟁 그러나 중앙집권화 정책을 펴는 술탄에 대한..